FIDO 얼라이언스 역사
2009년 – Validity Sensors와 PayPal은 암호 대신 온라인 사용자의 식별을 위해 생체 측정법을 사용하는 것에 대해 논의한다. 이 회의에서는 공공 키 암호화를 중심으로 설계된 업계 표준에 대한 아이디어를 도출하여 단순히 로컬 인증만으로 비밀번호가 필요없는 로그인을 가능하게 했다.
2012년 7월– FIDO 얼라이언스는 PayPal, Lenovo, Nok Nok Labs, Validity Sensors, Infineon 및 Agnitio에 의해 설립되었으며 비밀번호가 필요하지 않는 인증 프로토콜에 대한 작업이 시작되었다.
2013년 2월 – 협회가 공식적으로 출범함.
2013년 4월 – Google, Yubico 및 NXP는 협회에 가입하면서 개방형 2 단계 인증 프로토콜에 대한 아이디어를 가지고 왔다. 이러한 2 차 인증 장치를 개시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Google 직원에게 성공적으로 배포되었다.
2014년 2월– Paypal과 삼성전자는 최초의 FIDO 인증 배포를 위해 협력하여 삼성 갤럭시 S5 사용자가 PayPal이 허용되는 모든 곳에서 온라인, 모바일 및 매장 내 결제를 지문으로 로그인하고 결제 할 수게 했다.
2014년 12월 – 완성 된 v1.0 암호없는 프로토콜 (FIDO Universal Authentication Framework-FIDO UAF)과 두 번째 요소 프로토콜 (FIDO Universal 2nd 2-FIDO U2F)이 동시에 완료되어 발표되었다. 완전히 호환되는 v1.0 장치 및 서버의 운영 배포가 시작되었다.
2015년 2월– Microsoft는 새로운 FIDO 사양에 대한 기여를 바탕으로 Windows 10에서 FIDO 인증을 지원할 것이라고 발표했습니다.
2015년 5월– 협회는 FIDO® 시험인증 테스트 프로그램을 도입했으며 최초의 FIDO 시험인증 테스트 세션이 진행되었다.
2015년 5월– NTT 도코모는 FIDO 인증을 구축한 최초의 이동 통신사가 되어, 일본에서 6천 5백만 명의 이용자에게 비밀번호가 필요없는 미래를 가능하게 했다.
2015년 6월– 협회는 미국, 영국, 독일 및 호주의 정부 기관을 유치하는 정부 회원 프로그램을 도입했다.
2015년 10월 – 협회는 FIDO 표준의 개발이나 구현에 관한 협력을 위해 전세계 산업 협회를 초청하는 FIDO 협력 및 리에종 프로그램을 추가했다.
2015년 6월– 협회는 Bluetooth 및 NFC(Near Field Communication)를 통한 비접촉식 운송을 위한 FIDO 1.0 규격에 대한 지원을 발표한다.
2015년 11월 – 최초의 FIDO 인증 iOS 제품과 세계 최고 OEM의 스마트 폰 라인업이 발표되었다.
2016년 1월 – 협회는 중국 워킹 그룹 (FIDO China Working Group: FCWG) 을 출범했다.
2016년 2월– 월드 와이드 웹 컨소시엄(W3C)은 협회가 제출한 FIDO2 2.0 웹 API를 기반으로 웹 인증에 새로운 표준 작업을 시작했다. FIDO 얼라이언스가 FIDO2라고 하는 이 작업에 참여한 목적은 W3C와 협력하여 모든 웹 브라우저와 관련 웹 플랫폼 인프라에 걸쳐 FIDO 강력한 인증을 표준화하려는 것이었다.
2016년 9월 – 협회 이사회 멤버인 Intel, Lenovo, PayPal 및 Synaptics는 FIDO 표준을 사용하여 데스크톱에서 웹을 지원하는 생체 인증에 사용할 수 있도록 공동 작업을 발표했다.
2016년 12월 – 협회는 일본 워킹 그룹 (FIDO Japan Working Group: FJWG) 을 출범했다.
2016년 12월 – 2016 년 동안 Aetna, BC 카드 및 Feitian은 협회 이사회에 합류했다.
2017년 1월 – Facebook은 FIDO 인증에 대한 지원을 발표했다. 이 발표는 FIDO를 활용하여 계정 보안을 개선할 수 있는 사용자 계정 수를 30억 개 이상으로 증가시켰다.
2017년 3월 – 협회는 FIDO 인증을 거치는 인증자에 대한 보안 요건을 도입한 인증자 인증 프로그램을 발표했는데, 이 프로그램은 레벨 1(L1) 인증자와 FIDO 인증 레벨 2(L2) 인증자의 두 가지 등급이다.
2017년5월 – 협회는 인도 워킹 그룹 (FIDO India Working Group: FIWG) 을 출범했다.
2017년 11월– 협회는 유럽 워킹 그룹 (FIDO Europe Working Group: FEWG) 을 출범했다.
2017년 12월 – 협회는 한국 워킹 그룹 (FIDO Korea Working Group: FKWG) 을 출범했다.
2017년 12월 – 협회는 FIDO UAF 1.1을 포함한 규격 업데이트를 발표하여 OEM의 사용자 지정 없이 Android 8.0 이상 기기에서 하드웨어 키 증명 기능을 지원하는 FIDO 인증을 공개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했다.
2018년 1월 – Amazon이 협회 이사회에 참여했다.
2018년 4월– W3C 웹 인증 표준이 후보 추천에 도달했고 FIDO2가 공식적으로 시작되었다. FIDO2는 Web Authentication JavaScript API 표준과 FIDO의 해당 Client-to-Authentator Protocol(CTAP)으로 구성되어 있다. 구글 크롬, 모질라 파이어폭스, 마이크로소프트 엣지 등 주요 웹 브라우저들이 이 표준을 구현했다. 안드로이드, 윈도우 10과 관련 마이크로소프트 기술은 곧 FIDO 인증을 위한 내장 지원을 약속한다.
2018년 9월– 협회는 업계 최초로 생체인증 부품 시험인증 프로그램을 발표했다. 이 프로그램은 공인된 독립 연구소를 활용하여 생체 인식 성능 및 프레젠테이션 공격 감지(PAD)에 대해 세계적으로 인정된 성능 표준을 충족하고 상업적 사용에 적합함을 인증한다.
2018년 9월– 협회는 레벨 3 (L3) 및 레벨 3+ (L3 +) 테스트 및 시험인증을 시작하여 인증기 시험인증 프로그램의 확장을 발표했다.
2018년 9월 – 웹에서 비밀번호 사용을 줄이기 위해 FIDO2 브라우저 지원 및 최초 인증 제품이 제공되었다. 이를 통해 모든 웹 사이트는 W3C 및 FIDO 얼라이언스의 강력한 FIDO2 인증 프로토콜을 활용하여 장치 생체 인식 및 FIDO 보안 키와 같은 편리한 대안을 사용하여 암호화된 보안 로그인으로 대체 할 수 있게 되었다.
2018년 12월– 국제전기통신연합(ITU-T)의 전기통신표준화 부문(ITU-T)에 의해 FIDO 규격인 FIDO UAF 1.1과 CTAP의 두 가지가 국제표준으로 인정되었다. 이 이정표는 정보통신기술(ICT)의 글로벌 인프라에 대한 FIDO UAF 1.1과 CTAP를 공식 ITU 표준(ITU-T 권장사항)으로 정했다.
2019년 2월 – 협회는 삼성 갤럭시 S10과 S10+ 스마트폰을 FIDO 얼라이언스의 새로운 생체인증 부품 시험인증 프로그램에서 시험인증을 획득한 첫 사례로 발표했다.
2019년 2월– Android는 FIDO2 인증을 획득하여 플랫폼에서 실행되는 10억 개 이상의 장치에 대해 더 간단하고 강력한 인증을 가능하게 했다. 이를 통해 사용자는 FIDO2 프로토콜을 지원하는 웹 사이트 및 네이티브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암호 없이 안전하게 액세스할 수 있도록 장치에 내장된 지문 센서 및/또는 FIDO 보안 키를 활용할 수 있게 되었다.
2019년 3월 – 협회의 FIDO2 스펙 세트의 핵심 구성 요소안 W3C의 웹 인증 (WebAuthn) 권장사항이 공식적으로 웹 표준화 되어 전 세계 사용자가 웹을 보다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게 만드는데 있어 중요한 진전을 기록하게 되었다.
2019년 5월 – Windows Hello는 FIDO2 인증을 획득하여 Windows 10 사용자가 서버에 비밀번호를 저장하지 않고 Windows Hello 생체인증 또는 간단한 PIN 넘버를 활용하여 FIDO 인증 보안을 통해 디바이스, 앱, 온라인 서비스 및 네트워크에 액세스할 수 있도록 하였다.